fnctId=bbs,fnctNo=3116 총 65 건이 등록되었습니다.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2024 WE-Meet Awards’ 교육부장관상 수상 새글 작성자 전자공학부 조회수 120 첨부파일 0 등록일 2025.02.03 우리 학부의 김상흔, 박찬희, 이서현, 한영현 학생이 교육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주관하는 2024 WE-Meet Awards 에서 반도체 소 부 장 분야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위-밋 프로젝트는 첨단분야 전문가가 대학생 프로젝트에 참여해 산업 현장을 반영한 프 로젝트 주제를 제시하고 멘토링을 제공해 대학생의 취업 역량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날 시상식에서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871개 팀(4,051명) 중에서 우수팀으로 선정된 31 개 팀에 상장(상의 회장상 13팀, 교육부 장관상 18팀)과 상금이 수여됐다. 전자공학부 김동명 박사, 글로벌 반도체 대기업 브로드컴(Broadcom)에 취업 작성자 전자공학부 조회수 376 첨부파일 0 등록일 2025.01.17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통신 회로 및 시스템 설계 연구실 소속 김동명 박사(사진/지도교수 전자공학부 임동구)가 글로벌 반도체 대기업 브로드컴(Broadcom)에 치열한 경쟁을 뚫고 취업에 성공을 하였다. 미국 팹리스 기업인 브로드컴은 글로벌 ASIC(주문형 반도체) 대표 기업으로 케이블 모뎀 셋톱박스 스위치 라우터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유선 인프라, WiFi 및 RF 칩셋 등의 무선통신 칩을 주로 생산하며, 최근에는 AI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 센터용 반도체 설계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 시가총액 1조달러를 돌파했으며,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와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도 제치고 시가총액 순위 8위를 차지한 글로벌 반도체 대기업이다. 김동명 박사는 전북대 전자공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석사 및 박사과정 동안 CMOS RF/아날로그 송수신기 회로 설계 연구에 매진을 했으며, 반도체 집적회로설계 분야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 저널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 Regular Papers 및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I: Express Briefs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또한, 제 26회 삼성전자 휴먼테크 논문대상 회로설계 분야 동상을 수여하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를 인정받아 브로드컴 RFIC 개발 부서에 연구원으로 채용되었다. 김동명 박사는 이 성과가 있기까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신 전북대학교와 전자공학부, 그리고 물심양면으로 지도해주신 임동구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며 후배들에게 자신의 목표를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면 그 꿈은 반드시 이룰 수 있다고 전하고 싶다 고 말했다. 유재욱 석박통합과정, 구리 금속 배선 호환 p-type 산화물 반도체 개발 작성자 전자공학부 조회수 224 첨부파일 0 등록일 2025.01.16 전북대학교 전자공학부 유재욱 석박통합과정(지도교수 배학열)이 p-type 산화물기반 반도체 소자를 개발, 전기적특성 분석 결과를 세계 최고 수준의 저널인 『ACS Applied Materials Interfaces (IF: 8.5, Q1)』에 게재하였다.P-type 산화물 반도체는 다수캐리어인 정공 (hole)의 이동도가 제한적이고 높은 결합 에너지로 인해 hole의 형성도 어렵기 때문에 박막 및 소자를 개발하기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배학열 교수 연구팀은 미국 Purdue University의 Peide D. Ye 교수 그룹과 협력 연구를 통해 반도체 공정의 핵심기술인 플라즈마강화 원자층 증착법(Plasma-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PEALD)을 이용하여 p-type 구리 산화물 (Cu2O)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였다. Cu2O 반도체소자는 hole이 다수캐리어인 p-type 산화물 반도체로서 전자 (electron)가 다수캐리어인 n-type 산화물 반도체와 함께 CMOS를 개발한다면 현재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공정인 monolithic 3D (M3D)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저주파 잡음 특성 (low-frequency noise)분석을 활용하여 p-type Cu2O 반도체소자의 전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박막 두께 제어(~30 nm)를 통해 소자 소형화에 따른 출력 전류의 변동 (fluctuation)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배학열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던 n-type IGZO와 호환이 가능하고 향후 산화물 반도체기반 CMOS를 구현할 수 있는 초박막 p-type 산화물반도체를 개발한 것이 큰 의미를 갖는다 라면서 앞으로 고성능 반도체 소재 및 소자를 개발해 연구 경쟁력을 높이겠다 고 말했다. 김기현 교수,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 공로 교육부장관 표창 작성자 전자공학부 조회수 400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12.27 전북대학교는 김기현 교수(전자공학부) 교수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반도체 소부장 혁신융합대학사업 의 활성화와 지역협업, 성과확산에 이바지한 공로로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반도체 소부장 혁신융합대학사업은 반도체 소재/부품ㆍ장비/패키징ㆍ테스트 분야의 전문 인력양성을 위해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성균관대, 단국대, 전북대, 경상국립대, 영진전문대 5개 대학이 컨소시엄으로 2023년 선정되면서 출범했다. 김 교수는 전북대학교 반도체 소부장 혁신융합대학사업 부단장을 맡아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융합전공 및 14개의 수준별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신설하여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체계를 마련하고 진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했다. 또한 가상현실 반도체 교육 인프라 구축, 지역기업과의 WE-MEET 프로젝트 운영 확대, 전북특별자치도 반도체 산업 활성화 포럼 개최 등 지역 반도체 산업 활성화에 기여했다.또한 이 사업의 일환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도비(4억 5백만원) 지원 아래 반도체 분야 취업을 희망하는 도내 미취업자 대상의 반도체 아카데미 를 전북대 반도체설계교육지역센터의 도움으로 운영하여 반도체 특화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전북특별자치도 반도체 기업에 취업연계하는 성과를 달성하여 지역 정주 인력양성에도 이바지했다. 김기현 교수는 반도체 소부장 혁신융합대학사업은 이종열 단장님(전자공학부)을 비롯한 여러 교수님들과 직원들의 노력으로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다. 이 상은 이 분들에게 주어진 것이라 생각한다 면서 앞으로도 반도체 소재/부품ㆍ장비/패키징ㆍ테스트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고 소감을 전했다. 처음 117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