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반도체공학 / 대표교수: 이종열 교수
시스템 반도체 기술은 우리나라 산업을 이끌어 가는 핵심기술이며 인공지능, 통신, 로봇, 미래 모빌리티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핵심기술이다. 본 연구그룹은 우리나라의 시스템반도체 강국 도약을 위해 차세대 공정 개발을 통한 나노소자의 설계 및 제작, 아날로그 및 디지털 집적회로 설계, 반도체 장비 기술 개발, 패키징·테스트 개발 등 반도체 전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참여교수 : 김기현, 김수영, 배학열, 이종열, 임동구, 정용채, 정진균, 조성익, 최우영 교수
광전자 및 디스플레이 / 대표교수: 이지훈 교수
광학기술은 반도체공정, 센서소자, 디스플레이장치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과학기술과 접목하여 메타소자, 양자컴퓨팅, 차세대통신 기술 등으로 연구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그룹에서는 광센서 기술, 나노포토닉스 기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소재 기술, 광응답-전기적특성 분석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 참여교수 : 김기현, 배학열, 송민호, 이지훈 교수
인공지능 / 대표교수: 이상준 교수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은 인간의 지능 일부를 모델링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접목되어 미래기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본 연구그룹에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훈련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인지 및 추론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주로 연구개발 한다. 주된 응용연구 분야에는 데이터처리 및 패턴분석, 영상 및 자연어처리, 지능형 통신시스템, 지능제어시스템, 인공지능 로봇, 바이오인포매틱스 등이 포함된다.
- 참여교수 : 김향란, 노현민, 박석환, 박재병, 송철규, 이상준, 이태희, 정길도, 조성익, 조형기, 최재호 교수
통신및네트워크 / 대표교수 : 김수영 교수
우리 그룹은 데이터의 전송/압축/보안 등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6G 이동통신,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위성 기반의 지상/비지상 통합 네트워크, 다중안테나(MIMO) 기술, AI/ML 활용 지능형 통신, 블록체인 네트워크, AR/VR 서비스, RF/초고주파/디지털 집적회로 설계, 안테나 전파공학 등이 포함된다.
- 참여교수 : 김수영, 김향란, 노현민, 박석환, 정용채, 손해원, 임동구, 정진균, 최재호 교수
지능로봇시스템 / 대표교수 : 이태희 교수
본 연구그룹은 자율적으로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동작하는 지능로봇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로봇은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의 뒤를 이을 국가미래 첨단산업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전자, 기계, 항공우주, 메카트로닉스 공학의 바탕이 되는 학문 중 하나로,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기술인 IoT, 자율주행차, 드론, cyber-physical system 등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이다. 이에, 로보틱스 기구학과 센서를 이용한 로봇제작, 액추에이터 구동을 통한 로봇 시스템의 운동제어, AI를 이용한 자율 인지·판단 기술 등 지능로봇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 참여교수 : 김정무, 박재병, 손해원, 송민호, 송철규, 이상준, 이태희, 정길도, 조형기 교수
양자컴퓨팅소자 및 시스템 / 대표교수 : 김기현 교수
양자 기술은 12대 국가전략기술에 포함되어 있으며 초격차 전략기술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양자 컴퓨터, 양자 암호통신 등의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그룹은 양자소자, 양자센서, 양자모사광학, 양자컴퓨팅, 암호통신, 광자 신호처리, 광자 로직 등의 연구를 진행한다. 더불어 디지털 컴퓨팅 (마이크로프로세서, 임베디드 시스템 등)을 활용한 전자 시스템 설계 연구를 진행한다.
- 참여교수 : 김기현, 이종열, 이지훈, 최우영 교수